본문 바로가기
경제논단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하는 언제쯤?

by 닥터궁금이 2024. 6. 6.
728x90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하는 언제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732769

 

ECB는 금리 내렸는데 美연준은 언제?…'9월 첫 인하' 예상 많아

노동시장 냉각 지표에 기대감 높아져…'연내 1~2번' 전망 우세 유럽중앙은행(ECB)이 6일(이하 현지시간)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이제 세계의 시선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로 향하고 있

n.news.naver.com

 

1.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 인하

 

오늘(6/6) 유럽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하였습니다.  종전 4.5%이던 기준금리를 4.25%로 0.25% 인하한 것입니다.  유럽중앙은행의 이러한 기준금리 인하는 2022년 7월 이후 11년 11개월 만에 이루어진 것이라 더 의미가 있습니다. 

 

2. 금리인하 배경

2023년 9월 이후 물가상승률이 2.5% 이상 하락함과 동시에 인플레이션 우려도 상당 부분 개선되었기 때문에

통화정책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설명입니다.

 

3. 한국, 유럽,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5%입니다. 따라서 유럽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차이는 0.75% 수준입니다. 한편, 미국의 기준금리는 5.5%입니다.

728x90

 

4.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 가능성

캐나다(6/5, 0.25% 인하, 5.0% => 4.75%) 및 유럽중앙은행의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바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가장 많은 전문가은 2024년 9월을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으로 예상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올해 내로 기준금리를 1번 내린다고 예상하는 전문가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연준의 신중한 태도에도 불구하고 올해 11월 5일로 예정된 미국 대통령 선거를 감안할 때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유지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고금리의 유지는 소비를 위축시킴과 더불어 생산감소를 야기해서 경기하강을 촉진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5. 우리나라의 금리인하 가능성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올해 3분기까지 금리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미국 연준이 올해 9월경 금리를 인하하면, 한국은행은 그 뒤를 이어 올해 11월이나 12월 경에나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것 같습니다.

 


 

급여는 쉽게 오르지 않는데 물가는 나날이 올라감에 따라 서민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서민들이 어려운 시기를 소비를 줄여가며 버티다 보니 자영업자들의 삶도 힘들기는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부자와 기득권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서민들을 위한 민생경제 활성화 대책이 시급한 요즘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