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37

주택임대차계약 7 -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 주택임대차계약의 계약기간은 2년 또는 3년이 일반적입니다. 실무적으로는 계약기간을 2년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 같습니다. 임대차계약이 만료되는 경우 임차인은 계약연장을 위해 임대인과 계약조건을 새롭게 협의하거나 새로운 임차주택을 물색해야 하는 등 매 2년마다 어려운 과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러한 서민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주거안정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20년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이 새롭게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도입되었습니다.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은 임차인이 1회에 한해 계약의 갱신을 요구할 수 있고 임대인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이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임차인 입장에서는 상당히 강력한 주거안정 확보방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과거 도입 당시에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임.. 2024. 6. 23.
주택임대차계약 6 - 묵시의 갱신 임대차계약의 만료일이 도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계약의 종료 및 재계약 등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종전 임대차 계약이 계속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것이 바로 묵시의 갱신입니다. 임대차 계약만기를 앞두고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어떻게 계약을 유지, 변경, 해지해야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고 있지 않아 당황하는 경우들일 많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런 분들을 위해 임대차계약의 묵시적 갱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묵시의 갱신'의 개념임대차계약이 만료되는 경우 임대인은 임차인으로 부터 받은 임차보증금을 다시 임차인에게 돌려주어야 하고 임차인은 사용하고 있는 임차주택을 임차개시 당시의 상태로 임대인에게 반환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임대차계약의 만기가 다가오면.. 2024. 6. 23.
주택임대차계약 5 -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 주택임대차보호법 제8조는 임차인의 임차보증금 중 일정금액을 다른 담보물권자 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입니다. 지난 글에서 살펴본 우선변제권과 유사하지만 우선변제권 보다 더욱 강하게 임차인을 보호하는 규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의 개념, 최우선변제권의 요건, 최우선변제권의 효력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최우선변제권의 의의 최우선변제권이란 임차인이 임대인으로부터 반환받을 보증금 중 일정금액을 임대주택에 대한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에서 살펴본 임차인의 우선변제권과 유사하지만 임차인 보호에 있어 더욱 강화된 권리입니다. 최우선변제.. 2024. 6. 22.
주택임대차계약 4 - 임차인의 우선변제권 우선변제권이란 어떤 채권자가 다른 채권자보다 우선적으로 채무자의 재산으로부터 자신의 채권을 변제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은 임차인이 임차주택에 대하여 다른 채권자들에 우선하여 자신의 임차보증금을 변제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임차인에게 매우 중요한 권리입니다. 이 글에서는 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의 의미와 우선변제권을 행사하기 위한 요건, 우선변제권의 효력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의 의의1)  우선변제권의 개념우선변제권이란 특정 채무자에 대하여 채권자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특정한 채권자가 다른 채권자 보다 우선적으로 자신의 채권을 채무자의 재산으로부터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즉, 우선변제는 다른 채권자와 비교하여 우선변제를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2024. 6. 22.
해외 여행자 구매물품의 과세가격 및 과세방법 미화 기준으로 800불을 넘지 않은 해외여행자 구매품은 일반적으로 면세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800불을 초과하는 물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관세 등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800불을 초과하여 물품을 구입한 경우, 관세 등의 기준이 되는 과세가격 및 과세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 여행자 구매물품의 면세요건 및 통관절차에 대해 이전 글을 먼저 읽어보시면 보다 쉽게 이해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해외 여행자 구매 물품의 면세 요건 및 통관 절차해외여행을 다녀오시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환율이 저렴한 일본을 다녀오시는 분들도 많고 여름휴가를 앞두고 여행지를 고민하는 분들도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외여행의 묘미 중 하나는living-economy.tistory.com 1. 해.. 2024. 6. 21.
해외 여행자 구매 물품의 면세 요건 및 통관 절차 해외여행을 다녀오시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환율이 저렴한 일본을 다녀오시는 분들도 많고 여름휴가를 앞두고 여행지를 고민하는 분들도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외여행의 묘미 중 하나는 현지에서 특색 있고 가성비 좋은 물품들을 구매하는 쇼핑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해외에서 쇼핑을 하면서 나중에 귀국할 때 면세가 될지, 아니면 관세를 내야 하는지 고민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해외여행 중 구입한 물건을 가지고 귀국할 때 면세가 되는 요건 및 면세가 되지 않을 때의 통관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해외 여행자 휴대품 면세 요건 1) 해외 여행자의 휴대물품 일 것해외 여행자가 일반적으로 휴대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인정되는 신변용품 및 장식품 등을 여행자 휴대품이라고 합니다. 여행자 휴대품이 아닌 것은 면.. 2024. 6. 21.
728x90